1985년 한국은 젊은 나라?

씽크누리

1985년 인구센서스 조사에 따르면 한국의 총 인구는 4,044만 8,486명이고 당시 세계 각국 순위에서 23위에 해당합니다.

전 국민의 평균 연령은 27.7세였습니다. 40년이 지난 2025년 기준의 현재 우리나라 국민의 평균연령은 46.7세입니다. 40년 사이에 평균 연령은 19세 가량 늘어난 셈입니다.

평균 수명은 남자가 65.8세, 여자가 72.2세로 조사됐습니다.

💡
2025년 기준으로 우리나라 중위연령은 46.7세

20세 이상 인구 중 출생지별 분포로 보면, 전남(광주포함) 출신이 340만 명, 경북(대구제외) 339만 명, 경남(부산제외) 295만 명, 충남 262만 명 순입니다. 권역별로 보면 경남-부산-대구 등 영남권이 759만 명, 호남권은 547만 명이었습니다.

가장 신도가 많은 종교는 불교였는데 806만 명이었으며, 개신교 648만 명, 천주교 186만 명 순이었습니다.

학력별 인구를 살펴봤을 때 고졸 출신은 33.8%로 고학력 사회가 도래했음을 보여준다고 기사화했습니다.

평균 초혼 연령은 남자가 27.8세, 여자가 24.7세 였습니다. 가족 구성원별로는 부부 한가구를 이른 가구는 9.5%이고 부부와 자녀 등 2대가 한가구를 이룬 경우는 67.0%로 전체가구중 76.5%가 2대 이하로 구성된 핵가족인 것으로 집계됐습니다.

주택 사정으로는 내집 보유율이 53.4%이고 월세로 사는 가정은 19.6%이며, 전세 가구는 500만 원 미만의 전세금으로 세든 가구가 68.3%였습니다.  

전국의 총 가구 수는 957만 1,000 가구이고, 총 주택 수는 601만 4,000 채였습니다. 주택 보급률은 71.7%였다고 합니다.

작가와 대화를 시작하세요.
1 이달에 읽은
무료 콘텐츠의 수

이달의 무료 콘텐츠를 모두 읽으셨네요~~

더 읽고 싶으시다면, 커피 한잔 가격으로 구독해보세요

Powered by Bluedot, Partner of Mediasphere
닫기